해군 대형상륙함 독도함의 육상 대기 시간이 해상작전보다 두 배 이상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.
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안규백 의원이 15일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, 최근 4년간 독도함의 연 평균 운용일인 245일 중 항해일 수는 79일인데 반해 정박일 수는 166일이었다. 함정 운용이 바다보다 땅에서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.
독도함은 상륙작전을 주 임무로 하는 대형수송함임에도 불구하고 상륙훈련보다 행사임무에 더 많이 투입되었다.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상륙훈련일자는 73일로 연 평균 18일 수준이었다. 같은 기간에 행사지원에 투입된 것은 130일로 연 평균 32일이다. 이는 상륙훈련의 1.5배 수준이다. 지난해 6월에는 포항에서 대대급 상륙훈련 중이었지만, 독도함은 공군 교육사령부 교관 일행의 함정견학으로 해당 훈련에 참가하지 않았다.
안 의원은 “2005년 독도란 이름으로 진수식을 가진 독도함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자주국방의 의지이자 우리나라 세계적 조선기술의 상징”이라면서 “이런 배가 제대로 운용되지 못하고 항에 정박해있는 것은 큰 문제” 라고 밝혔다.
기사 원문 : https://news.naver.com/main/read.nhn?mode=LSD&mid=sec&sid1=100&oid=022&aid=0003513029
상륙함 아닌 이벤트함?…독도함 운용 논란
주무대는 바다 아닌 육지…훈련 보다 행사에 더 쓰여 경북 포항신항 부두에 독도함이 서 있다. 연합뉴스 해군 대형상륙함 독도함의 육상 대기 시간...
news.naver.com
홈페이지 : http://safe100.or.kr/
페이스북 : https://www.facebook.com/AGBhope
유튜브 : https://www.youtube.com/channel/UChwmas8xf5M_wnuqN-miupQ
해군 대형상륙함 독도함의 육상 대기 시간이 해상작전보다 두 배 이상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.
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안규백 의원이 15일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, 최근 4년간 독도함의 연 평균 운용일인 245일 중 항해일 수는 79일인데 반해 정박일 수는 166일이었다. 함정 운용이 바다보다 땅에서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.
독도함은 상륙작전을 주 임무로 하는 대형수송함임에도 불구하고 상륙훈련보다 행사임무에 더 많이 투입되었다.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상륙훈련일자는 73일로 연 평균 18일 수준이었다. 같은 기간에 행사지원에 투입된 것은 130일로 연 평균 32일이다. 이는 상륙훈련의 1.5배 수준이다. 지난해 6월에는 포항에서 대대급 상륙훈련 중이었지만, 독도함은 공군 교육사령부 교관 일행의 함정견학으로 해당 훈련에 참가하지 않았다.
안 의원은 “2005년 독도란 이름으로 진수식을 가진 독도함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자주국방의 의지이자 우리나라 세계적 조선기술의 상징”이라면서 “이런 배가 제대로 운용되지 못하고 항에 정박해있는 것은 큰 문제” 라고 밝혔다.
기사 원문 : https://news.naver.com/main/read.nhn?mode=LSD&mid=sec&sid1=100&oid=022&aid=0003513029
상륙함 아닌 이벤트함?…독도함 운용 논란
주무대는 바다 아닌 육지…훈련 보다 행사에 더 쓰여 경북 포항신항 부두에 독도함이 서 있다. 연합뉴스 해군 대형상륙함 독도함의 육상 대기 시간...
news.naver.com
홈페이지 : http://safe100.or.kr/
페이스북 : https://www.facebook.com/AGBhope
유튜브 : https://www.youtube.com/channel/UChwmas8xf5M_wnuqN-miupQ